본문 바로가기
취준생 이야기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디지털마케팅 인강 100% 환급 챌린지 49회차 미션

by 레즐리Lesley 2020. 12. 6.

일요일

채널 선택 및 콘텐츠 기획

예전과 앞으로 방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예전에는 디지털 채널 증가에 따라서 어떤 채널을 활용할 것인가보다 우리의 브랜드 캠페인에 뭐가 잘 맞겟다고 판단하고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가를 봐야함

전달하려는 메세지가 얼마나 정확히 전달되었는가 확인하는 방향에서 이제는 소비자들이 직접 당겨야하는 소구를 이끌어야하는 방향으로 가야함

예전에는 노출과 클릭을 달성 목표 극대화시키는 것이었는데 이제는 어떻게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브랜드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지, 지금이 아니더라도 브랜드 인식이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도록 해야함


터치 포인트

하나의 목적을 각 채널 별로 역할에 맞춰 나누어 진행했었던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채널 별로 특성을 살려서 최적의 역할을 부여하고 각 콘텐츠와 캠페인 운영방향을 분명하게 만들어서 최적의 효과을 유도해야함


인스타에는 이미지캇만 올라가거나 비하인드 컷만 올리거나 유튜브에서 영상을 보도록 이끌거나 다른 매체는 보도 뉴스로 뿌린다던지 등으로


매체별로 특성별로 다른 역할을 부여하여 주는 것

보도 성격을 띤 매체에는 인타뷰 형식으로 한다던지

채널별로 다르게 다른 목적의 콘텐츠로 abc 등등으로 다른 기획을 하면 좋음



실전 계획서 작성

효과측정
인지 고민 결정 단계 벌로 전환효과를 검토해야함


콘텐츠 마케팅에서는 어떻게 효과 측정을 해야하는지

효과 측정의 지표
: 공유와 참여 / 콘텐츠 소비 / 세일즈 변화

콘텐츠 소비로 인해 올드했던 브랜드 이미지가 영해젔네 변하고 있네 등으로 인식이 변했다면 콘텐츠 소비로 성과 측정으로 봐야함


비즈니스의 최종 목적을 상기해야함

중오한 것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하게 된 목적을 생각해야됨

산출물의 외형이 아무리 아름다워도 모두가 좋다고 해도 크리에이티브하다고 해도 제품이 전혀 팔리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다. 직접 매출을 올리빈 못해도 지명도가 올라간다던지 사람이 모인다던지 하는 그 기업이 지향하는 이익을 얻을 수 있어야만 가치가 있는 것이라는 점 꼭 기억해두기!


디지털 마케팅 인강 내돈내산 후기



올인원 패키지 : 디지털마케팅 MAX👉
https://bit.ly/324OkD

댓글